단연코, 단언코 - 뭐가 맞을까?
단연코 / 단언코 그런 일은 없습니다.
그는 우리들 가운데서 단연코 / 단언코 최고의 능률을 올리고 있다.
드라마 주인공을 맡은 배우는 단연코 / 단언코 후회 없이 드라마를 촬영했다고 말했다.
우리가 확신의 말을 할 때 자주 사용하는 단어인 '단연코'와 '단언코'.
두 단어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할 수 있을까? 아니면 하나는 맞고, 하나는 틀린 표현일까?
오늘은 '단연코'와 '단언코'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그러면 각 단어의 의미를 표준국어대사전을 통해 알아보자.
표준국어대사전 의미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단연코'와 '단언코'의 의미를 찾으면 다음과 같다.
◆ 단연코 - 부사
1. 확실히 단정할 만하게
- 단연코 그런 일은 없다.
- 타 지역 사람들을 이유 없이 차별을 하는 데 대해 단연코 반대합니다.
◆ 단언코 → '단언코'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올바른 사용법은?
'단연코'와 '단언코'를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검색해 보면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온다.
'단언코'는 검색 결과가 없다고 나오므로 위 문장에서 어울리는 단어는 '단연코'밖에 없다.
'단연코'는 '단연(斷然)'을 강조하여 이르는 부사어로 '단연히'라고도 쓸 수 있다.
이는 표준국어대사전의 관련규범해설(표준어 규정 3장 5절 26항)을 좀 더 살펴보면 '단연'과 '단연히, 단연코'가 모두 널리 쓰이므로 셋 다 표준어로 삼는다고 나온다.
따라서 우리가 확신의 말을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단어는 '단연코, 단연, 단연히'를 쓰기 때문에 '단언코'와 헷갈리면 안 된다.
처음 제시한 문장에서 올바른 표현으로 적으면 다음과 같다.
단연코 그런 일은 없습니다.
그는 우리들 가운데서 단연코 최고의 능률을 올리고 있다.
드라마 주인공을 맡은 배우는 단연코 후회 없이 드라마를 촬영했다고 말했다.
단연컨대, 단언컨대 올바른 사용법은?
위에서 '단연코'는 맞지만 '단언코'는 틀리다고 했다.
그러면 '단연컨대'와 '단언컨대' 중에서는 뭐가 맞을까?
여기서는 '단언컨대'고 사용을 해야 한다.
'단언(斷言)'은 '주저하지 아니하고 딱 잘라 말함'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활용형으로 '단언하다'로 '단언하건대 그런 일은 절대 일어나지 않을 겁니다'와 같이 쓸 수가 있다.
여기에서 '단언하건대'를 줄여서 '단언컨대'라고 쓸 수 있다.
가끔 '단언컨데'로 잘못 쓰는 경우가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위의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단연코, 단언하건대, 단언컨대'로 사용해야 하고,
'단언코, 단연하건데, 단연컨데'는 절대 사용하면 안 된다.
'한국어교육 - 알기 쉬운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구한 날, 허구헌 날 -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한국어 문법 69 (0) | 2024.10.12 |
---|---|
실랑이, 실갱이 -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한국어 문법 68 (0) | 2024.03.12 |
상고대, 눈꽃 -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한국어 문법 67 (2) | 2024.01.27 |
박히다, 박이다 -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한국어 문법 66 (0) | 2023.05.05 |
떨어뜨리다, 떨구다 -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한국어 문법 65 (1) | 2023.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