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어선생님73

반증, 방증 -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한국어 문법 58 '그의 주장은 논리가 워낙 치밀해서 반증 / 방증을 대기가 어렵다.' '그들이 이토록 조용한 것은 더 큰 음모들을 꾸미고 있다는 반증 / 방증이기 때문이다.' '사회취약계층에 대한 지원금이 몇 년째 오르지 않는 것은 정치인들의 무관심의 반증 / 방증이다.' 반증, 방증 - 뭐가 맞을까? 신문 기사나 유튜브를 보다 보면 많이 틀리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반증, 방증'이다. 발음이 비슷해 의미가 같다고 생각할 수도 있고, 발음상 차이가 잘 나지 않아 그냥 구분 없이 쓰는 경우도 많은데 두 단어는 엄연히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고, 다르게 쓰이고 있다. 흔히 '반증'을 많이 사용하는데 오늘 포스팅을 보면 두 단어의 의미 차이를 확실히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럼 헷갈리는 두 단어인 '반증'과 '방증'에 대해 알.. 2023. 3. 2.
부분, 부문 - 한국인이 틀리기 쉬운 한국어 문법 57 '2022년 신인상 부분 / 부문 시상을 하겠습니다.' '나는 경시대회에서 국어 부분 / 부문에서 1위로 입상했다.' '과일의 썩은 부분 / 부문을 잘라내고 먹으면 된다.' 부분, 부문 - 뭐가 맞을까? 매년 연말이 되면 텔레비전에서 하는 각종 시상식들. 시상식 사회를 맡은 사회자나 시상자들이 하는 이야기를 들어보면 많이 들리는 단어가 바로 '부분'이다. 또 뉴스나 신문 기사를 볼 때 많이 나오는 단어도 '부분, 부문'이 있다. 쓰기와 발음이 비슷한 이 두 단어는 분명한 차이가 있는데 오늘은 두 단어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 어떻게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지에 대해 포스팅을 하려고 한다. 일반인들뿐만 아니라 기자들도 많이 틀리는 단어인 '부분'과 '부문'에 대해 알아보자. 표준국어대사전 의미 표준국어대사전에.. 2023. 2. 27.
외가댁, 외갓집 / 처가댁, 처갓집 - 한국인 자주 틀리는 한국어 문법 56 외가댁, 외갓집 / 처가댁, 처갓집 - 뭐가 맞을까? '지난 여름에 우리 가족은 외가댁 / 외갓댁 / 외갓집에 다녀왔다.' '지난 주말에 처가댁 / 처갓댁 / 처갓집에 다녀왔다.'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단어인 '외가댁, 외갓댁, 외갓집', '처가댁, 처갓댁, 처갓집'. 과연 이 단어들 중 정확한 단어는 무엇일까? 정답을 먼저 이야기하면 '외가댁, 외갓집', '처가댁, 처갓집'이 맞고, '외갓댁, 처갓댁'은 틀린 표현이다. 사이시옷(ㅅ)이 들어간 단어라 '외갓댁, 외갓집', '처갓댁, 처갓집'이 맞는 것 같은데 왜 '외갓댁, 처갓댁'은 틀리고, '외가댁, 외갓집', '처가댁, 처갓집'만 맞을까? 표준국어대사전 의미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위 단어들의 의미를 찾으면 다음과 같다. ◆외가댁 - 명사 1. '외가(外.. 2023. 2. 23.
한국어교원 자격제도 경력 및 승급 관련 질문 정리 지난번 포스팅에서 한국어교원과 자격증 그리고 현실적인 이야기까지 작성을 했었다. 좀 더 자세한 이야기는 아래에서 보실 수 있음. 한국어교원, 한국어교원 자격증 이야기 한국어교원이 뭘까? 2000년대 한류(韓流)가 유행했었다. 한국의 가수들이 중국이나 대만에서 인기를 끌어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을 뜻하는 말이었다. 노래와 드라마가 대표적이었다. positive-jejuguy.tistory.com 오늘은 한국어교원 자격제도 중 경력과 승급에 대한 궁금한 점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한국어교원 자격제도 자주 묻는 질문 - 경력 및 승급 국립국어원에서 제작한 '한국어교원 자격제도 길잡이'에서 발췌를 했으며 경력과 승급에 관한 대표적인 질문들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1. 한국어교원 2급 자격증을 취득하.. 2023. 2. 16.
쉬, 시 [∫] -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한국어 문법 55 '여기 카메라 플래쉬 / 플래시 좀 비춰 봐.' '잉글리쉬맨 / 잉글리시맨 영화 봤어?'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영어 단어 한국어 표기 한국인들은 이야기를 할 때 영어 단어를 많이 섞어서 쓰는 경향이 있다. 한국어로 쓸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냥 영어 단어를 쓰는데 문제는 영어 발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닌 한국어처럼 발음을 한다는 것이 좀 문제가 된다고 본다. 한국어교육을 하다 보면 학생들이 종종 질문을 하는 게 "한국 사람들이 말하는 단어를 잘 모르겠어요.'이다. 좀 더 자세히 이야기를 들어 보면 단어를 이야기하는데 책에서 배운 단어가 아니라 너무 어렵다는 것이었다. 알고 보니 그게 바로 영어 단어. 영어 단어를 자주 쓴다고 이야기를 했지만 발음이 다르다 보니 학생들도 못 알아들었고, 내가 예를 들.. 2023. 2. 14.
화이팅, 파이팅 -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한국어 문법 54 '이번 경기에서 우리 팀이 이길 수 있도록 화이팅 / 파이팅합시다.' '축구 후반전 화이팅 / 파이팅.' 화이팅, 파이팅 - 뭐가 맞을까? 보통 운동 경기를 할 때 힘을 내자, 열심히 하자는 의미로 사용하는 'Fighting'. '화이팅, 파이팅' 등으로 읽을 수 있다. 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영어의 'fighting'은 싸운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우리가 사용하는 것과는 달라 틀린 표현이다. 이런 것은 사실 영어의 잘못된 한국어 사용이라 할 수 있지만 이번에는 그런 걸 따지는 게 아니라 외국어/외래어를 표기할 때 어떻게 쓰는 것이 정확한지를 설명하기 위한 포스팅이다. '화이팅'과 '파이팅' 중 정확한 표현은 '파이팅'이다. 그러면 왜 '화이팅'이 아닌 '파이팅'인지 살펴보자. 한국어문규정집 외래어표기법 한국.. 2023. 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