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주제로 알맞는 /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모임 분위기에 걸맞는 / 걸맞은 옷차림을 해야 한다.'
알맞는, 알맞은 - 올바른 사용법은?
'알맞는, 알맞은'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먼저 기본형인 '알맞다'의 의미부터 찾아봐야 한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알맞다 - 형용사
1. 일정한 기준, 조건, 정도 따위에 넘치거나 모자라지 아니한 데가 있다.
- 학생 신분에 알맞은 옷차림.
- 키에 알맞게 의자 높이를 조절하다.
- 빈칸에 알맞은 말을 넣으십시오.
- 김치가 먹기에 알맞게 익었다.
- 나들이하기에 알맞은 날씨다.
- 걷기에 알맞은 거리다.
'알맞다'는 형용사로서 기준이나 조건, 정도가 적당하다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그런데 사람들이 이야기를 할 때 들어보면 '알맞는'으로 많이 사용을 하고 있는데 이는 잘못된 경우이다.
보통 한국어 문장에서 '나는 옷을 샀다.'처럼 주어(나는) + 목적어(옷을) + 서술어(샀다)'로 쓸 수가 있는데
목적어 앞에 좀 더 꾸며주는 내용을 넣을 때에는 동사나 형용사를 사용할 수가 있다.
하지만 동사와 형용사를 그냥 연결을 하면 문장 오류가 생기기 때문에 문법을 사용해 형태를 바꿔줘야 하는데
그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관형사형 어미 '-는 / -(으)ㄴ'이 된다.
한국어교육에서 가르치는 것으로 정리를 하면
'V(동사) + -는 N(명사)', 'A(형용사) + -(으)ㄴ N(명사)'의 형태가 된다.
'알맞다'는 형용사이기 때문에 '알맞다 + -(으)ㄴ'의 형태로 결합을 해야 하고,
그 결과 '알맞은'이 되는 것이다.
'알맞는'은 동사와 결합하는 관형사형 어미 '-는'과 연결이 됐기 때문에 형용사인 '알맞다'와는 결합을 할 수가 없다.
처음 제시한 문장을 바르게 고치면 다음과 같다.
'이 글의 주제로 알맞는 /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 '이 글의 주제로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걸맞는 , 걸맞은 - 올바른 사용법은?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걸맞다'를 찾으면 다음과 같다.
◆걸맞다 - 형용사
1. 두 편을 견주어 볼 때 서로 어울릴 만큼 비슷하다.
- 나는 어느 면으로 보나 그녀에게 걸맞은 신랑감이 못 됐다.
- 친구로 사귀기에 걸맞은 상대.
- 그는 신붓감으로 집안 조건이 자기와 걸맞은 여자를 찾고 있지만 쉽지 않은 모양이었다.
- 우리는 서로 걸맞은 짝이 아니라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
'걸맞다'도 '알맞다'와 같이 형용사로서 명사의 의미를 더해주는 관형사형 어미를 연결할 때 '-(으)ㄴ'을 사용해야 한다.
그래서 '걸맞는'이 아닌 '걸맞은'으로 사용을 해야 올바른 문법 형태 연결이 되는 것이다.
텔레비전을 보면 자막에 '걸맞는'이라고 잘못 표기된 게 많은데 말을 할 때도 바르게 사용해야 하지만
자막을 만들 때도 좀 더 검수를 해서 제대로 정보를 전달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처음 제시한 문장을 다시 보고, 바르게 고치면 다음과 같다.
'모임 분위기에 걸맞는 / 걸맞은 옷차림을 해야 한다.'
→ '모임 분위기에 걸맞은 옷차림을 해야 한다.'
'-는 / -(으)ㄴ'이 헷갈린다면 기본형의 품사(동사, 형용사)를 확인한 후 사용을 하면 더욱 정확하다.
'이 글의 주제로 알맞는 /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모임 분위기에 걸맞는 / 걸맞은 옷차림을 해야 한다.'
한국어(한글)는 정말 과학적인 문자이자 사용하기 편한 말이지만 제대로 사용하려면 공부를 많이 해야 하는 문자와 언어이다.
모국어이기 때문에 잘 안다고 생각을 해서는 안 되며 작은 것 하나라도 제대로 확인을 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습관을 들였으면 좋겠다.
(잘 보셨으면 아래 '좋아요'를 눌러 주시고, 댓글도 남겨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어교육 - 알기 쉬운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저희 나라 -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한국어 문법 50 (0) | 2023.01.26 |
---|---|
숟가락, 젓가락 -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한국어 문법 49 (10) | 2023.01.18 |
바라요, 바래요 -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한국어 문법 47 (0) | 2023.01.15 |
쇠고기, 소고기 -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한국어 문법 46 (0) | 2023.01.13 |
곱배기, 곱빼기 -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한국어 문법 45 (0) | 2023.01.11 |
댓글